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담, 누가 용의 쓸개를 맛보았을까? 용담 Gentiana scabra Bunge 산자락에 자라는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 . 줄기는 곧게 서며 60cm 가량 자란다. 10월 경 개화. 뿌리를 약용한다. 한국(전역)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이명] 과남풀, 룡담, 초룡담(북한명), 선용담 등. 가을엔 보라색 꽃을 자주 만나게 된다. 쑥부쟁이, 잔대, 투.. 더보기 2011. 10. 5 (수) 동해안의 해국 열흘 전 이곳엔 해국이 거의 피지 않았었지만 일출이 좋았었다. 이날은 해국은 멋지게 피어있으나 해 뜨는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원하는 사진을 얻기는 이리도 어려운 것이다. 해가 뜬다고 해서 걸작이 되는 건 아니니, 그저 행복한 마음으로 찍으면 되는 것이다. 가장 소담스러운 해국인데... 바위틈에.. 더보기 2011. 10. 4 (화) 둥근잎꿩의비름을 찾아서 더보기 2011. 10. 3 (월) 철원 일대 탐사. 이틀 전에 갔던 승일교 부근이다. 그 날은 강부추가 제대로 피지 않아서 다시 찾았다. 기대와는 달리 별로 더 피지도 않았다. 그날은 늦어서 그늘에서 보던 것을 햇빛 아래서 볼 수 있어서 좋았다. 강부추의 잎을 칼로 잘라 본 것이다. 완전한 동그라미, 이것이 강부추의 특징이라고 한다. 두메부추, 산.. 더보기 2011. 10. 2 (일) 영흥도, 수원 근교 탐사 영흥도에 해국이 피었다길래 갔더니, 단 한 송이밖에 찍을만한 것이 없었다. 개화한 것도 얼마 안되었지만 그나마도 시들었거나, 옹색한 구석에 쳐박혀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대부도와 영흥도에 꾸역꾸역 밀려드는 차들이 심상찮다. 빨리 방조제를 건너 이곳을 탈출하는 것이 시급했다. 나오.. 더보기 2011. 10. 1 (토) 연천, 철원 일대 탐사 강가에 핀 구절초의 모습이 보고 싶어서 무작정 한탄강 가로 갔다. 웹사이트에 자주 올라오는 저 절벽은 내가 20년 가까이 근무하던 지역이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저 바위의 별명이 자살바위다. 조금 늦었다. 한 열흘 전에 왔더라면 보다 싱싱한 모습들을 볼 수 있었을 텐데... 한 풀 죽은 꽃을 가지고 .. 더보기 2011. 9. 30 (금) 하늘공원의 외래식물들 일기예보와는 다르게 이른 아침부터 하늘이 맑아서 하늘공원에 갔다. 가시박이 그야말로 가시 돋친 박을 주렁주렁 달고 있었다. 옛날에 힘센 장수들이나 쓰던 유성추 같이 생긴 박이다. 이 식물이 저렇게 무시무시한 철퇴를 주렁주렁 달고있으니.. 아무 식물도 대적할 엄두를 못내고 있나보다. 이 식.. 더보기 꿩 보러 다니시던 할매와 꿩의밥 꿩의밥 Luzula capitata (Miq.) Miq. 산과 들의 풀밭에 자라는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20cm. 4~5월 개화. 한국(전역) 및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이명] 꿩의밥풀, 꿩밥 “느 할매 새댁 때 날마다 이리로 꽁 보로 댕겼데이...” 할머니 산소 벌초하고 오는 길에 만난 노인 한 분이 하신 말씀이.. 더보기 이전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 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