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2. 8. 3 (금) 토끼섬 문주란 탐사 (2) 제주를 떠나는 날이다. 일출이 그런대로 좋길래... 토끼섬에 들어가려 했더니, 어제 태풍경보로 피신했던 배를 꺼낼 수가 없었다. 물이 아직 들어오지 않아서.... 새벽에 일찍 일어나도 토끼섬에 갈 수가 없었다. 물이 더 들어와야 배를 띄울 수 있기 때문이다. 꽃 때는 조금 늦었고, 물 때.. 더보기 2012. 8. 2 (목) 태풍 영향권에 든 제주에서.... 밤새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불었다. 덕분에 시원하게 자기는 했지만... 이날 하루는 어디 가도 꽃을 보기는 글렀다. 토끼섬에서 가까운 작은 연못에... 혹시 좀어리연이 피었을까 해서 찾아갔더니... 이제 막 피기 시작했다. 밤새 내린 빗방울을 잎에 얹은채로... 보통 어리연꽃에 비하면 엄청.. 더보기 2012. 8. 1 (수) 남제주 일대 탐사 노랑별수선이 사는 곳을 갔더니 ... 별수선은 보이지 않고 딱지꽃만 파란 하늘을 즐기고 있었다. 어느 숲 속에서는 애기천마도 만나고... 눈이 좋지 않은 사람은 영원히 찾을 수 없는 영주풀... 누군가 숲 속에 와서 찍고 있는 사람이 있어서 그곳에 무엇이 있는 줄 알았다. 난 그 분이 손가.. 더보기 2012. 8. 1 (수) 토끼섬 문주란 탐사 (1) 제주도의 문주란 군락을 보고 싶어서 3박 4일 날을 잡았다. 토끼섬 바로 앞의 게스트하우스에서 하루밤을 자고, 다음 날 새벽 4시 반에 배를 타고 토끼섬으로 갔다. 이곳의 문주란 작황이 올해 좋지 않다고 한다. 꽃을 피운 개체가 적을 뿐만 아니라... 그나마도 이미 많이 시들었다. 새벽 .. 더보기 한만(韓滿) 국경을 병풍처럼 두른 개병풍 개병풍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깊은 산골짜기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줄기의 높이 약 1m. 잎이 큰 것은 지름 75cm 정도이고 톱니가 있다. 6~7월 개화. 어린잎은 식용한다. 강원도·경기도의 높은 산에 드물게 분포하며 백두산 주변에 흔하다. [이명] 개평풍, 골.. 더보기 2012. 7. 8 (일) 돈화일대 습지 탐사 서백두 노호배, 왕지, 남파 코스는 아직도 트래킹이 허용되지 않고 있었다. 돈화 일대의 습지가 유명하다길래 그 방향으로 코스를 잡았다. 이도백하에서 자그마치 세 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다. 작은 연못이지만 다른 수초들이 없어서 각시수련 군락을 깨끗하게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 더보기 2012. 7. 7 (토) 용문봉 (2차) 탐사 2일 전 용문봉 1차 탐사 때, 하늘 흐리고 두메양귀비는 개화가 덜되었고, 천지가 잘 보이는 지점을 찾지 못해서 용문봉을 다시 오르기로 했다. 출발 지점은 소천지 뒤 해발 1800 미터 정도이고 용문봉 정상은 해발 2600여 미터 정도 되는 것 같다. 이틀 사이에 비로용담이 부쩍 많이 눈에 띄었.. 더보기 2012. 7. 6 (금) 소천지 일대 탐사. 일주일 전 1조와 함께 잠깐 머물렀던 장백폭포 입구 부근의 속닥한 꽃밭을 차분하게 둘러보기로 했다. 한 시간을 머물러도 좋고 하루 종일 머물러도 시간이 모자라는 곳이다. 우선 하늘매발톱들이 눈에 들어온다. 돌꽃 종류가 여러가지 있어서 무엇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차분하게 살.. 더보기 이전 1 ··· 208 209 210 211 212 213 214 ··· 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