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병풍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깊은 산골짜기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줄기의 높이 약 1m. 잎이 큰 것은 지름 75cm 정도이고 톱니가 있다.
6~7월 개화. 어린잎은 식용한다.
강원도·경기도의 높은 산에 드물게 분포하며 백두산 주변에 흔하다.
[이명] 개평풍, 골평풍
압록강 상류에서 야생화를 탐사하다가 어린 북한 병사를 보았다.
우리나라의 보통 중학생들보다도 훨씬 작아 보이는 그 병사는
철조망에 매달려 뭐라도 좀 달라는 간절한 손짓을 하고 있었다.
몇 년 전인가, 북한 청소년의 신장이 점점 작아져서
입대 가능 최저 신장을 142cm로 낮추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 키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남자 아이 평균키와 비슷하다.
세상 어디에 이렇게 작은 군인이 있다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
그들의 위대한 수령님과 그 아들 경애하는 지도자 동지는
인류역사상 그 어떤 절대권력도 하지 못했던 위대한(?) 일을 해냈다 .
압록강변에서 그 위대성의 실체를 내 눈으로 확인하였으니,
한 세대의 체구까지 줄인 이런 위업은 신(神)도 하지 못했던 일이다.
압록강이나 두만강 상류는 하천이 얕고 숲이 울창해서
마음만 먹으면 국경을 넘는데 별 어려움이 없을 터인데,
근래에 탈북민들이 줄어든 것은 공포와 통제 때문일 것이다.
처음 탈북을 했다가 소환되는 사람은 손아귀를 뚫고,
두 번째로 탈북한 사람들은 코를 꿰어 북으로 끌고 갔다고 한다.
요즈음은 바로 총살을 하는 공포정치로 국경을 잠재운 듯하다.
그 압록강 양쪽 숲 속에 개병풍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병풍은 펼쳐 세워서 무엇을 가리거나 외풍을 막아주는 물건이니,
국경선을 따라 살기에 그 의미가 아주 제격이다.
‘개병풍’의 이름에서 ‘개’를 뒤집어 쓴 까닭은
‘병풍쌈’이라는 식물보다는 맛이 못하다는 의미 같고,
‘병풍’은 잎이 아주 넓기 때문에 붙은 이름일 것이다.
그 군락 중에서 크게 자란 잎은 지름이 1미터 가까이 되었으니
우리나라 식물 중에서 이보다 잎이 넓은 식물은 본 적이 없다.
허장성세 같은은 개병풍의 이름에서 한 가닥 희망을 가져 본다.
백성을 제대로 보듬지 못하는 나라는 그 울타리가 개병풍과 같아서
언젠가는 허울 뿐인 국경은 자유의 바람에 스러지고,
생이별한 혈육이 얼싸안고 덩실덩실 춤을 추는 날이 오리라고....
2012. 7. 22. 꽃이야기 65.
'꽃나들이 2 > 백두산에 피는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는 순간부터 시드는 하늘매발톱 (0) | 2012.09.04 |
---|---|
천지의 또 다른 이름, 비로용담 (毘盧龍潭) (0) | 2012.08.12 |
백두산 고산화원의 자주구름, 두메자운 (0) | 2011.12.31 |
아무래도 마뜩치 않은 이름, 달구지풀 (0) | 2011.12.25 |
아직도 꺼지지 않은 화산의 불씨, 돌꽃 (0) | 201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