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나들이 4 나무에 피는 꽃/울창한 숲의 거목들

이른 봄소식을 전하는 귀룽나무

귀룽나무             Prunus padus L.

 

중부 이북의 계곡 주변에서 15m 정도 높이로 자라는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4~6월에 새 가지 끝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지름1cm 정도의 꽃이 모여 달린다.

 

 

 

 

 

귀룽나무는 중부지방의 낙엽지는 나무들 중에서 가장 먼저 새순을 낸다.

솜방망이 같은 하얀 꽃차례는 골짜기에 구름이 이는 듯 풍성하게 핀다.

뜻 모를 귀룽이란 이름은 이러한 생태적 특징 때문에 여러 가지 상상을 자아낸다.

 

박상진 교수는 그의 책(우리나무의 세계1. 김영사)에서 두 가지 유래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옛 문헌에서 한자표기로 등장하는 구룡목(九龍木)에서 변음이 되었다는 설로,

북한의 구룡강, 구룡연, 구룡폭포 등지에 이 나무가 많아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그런데 꽃 이름의 유래에 천착한 동호회의 꽃벗 송우섭 님은 다른 문헌에서

귀롱목(鬼籠木), 귀능목(鬼能木), 귀농목(農木) 등으로 표기된 것을 볼 때

귀룽나무를 이두식으로 차자(借字)했을 수도 있다는 합리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우리 고유의 이름인 귀룽나무를 비슷한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다.

 

둘째는 이 나무의 하얀 꽃이 뭉게구름처럼 풍성해서 구름나무로 불리다가 

귀룽나무가 되었으리라는 설인데, 실제 북한명이 구름나무이므로 그럴 개연성도 보인다.

그런데 북한의 식물명은 광복 이후에 쉬운 우리말로 개정한 정황이 여러 곳 보이므로

이 유래설 역시 원래 불리어 오던 귀룽나무를 구름나무로 개명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꽃벗 송우섭 님은 이 두 가지 유래설에 회의하면서 재미있는 화두를 던졌다.

이 나무가 다른 나무들에 비해 일찍 새순을 내고 꽃을 피우므로 긴 겨울이 끝나고

농사철이 되었다는 신호를 보내는 의미로 농()자를 쓰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다.

게다가 귀농나무는 구룡나무나 구름나무보다는 귀룽나무에 훨씬 가까운 발음이다.

 

아무튼 나는 구룡목이나 구름나무 유래설 보다는 귀농나무가 더 그럴듯하게 여겨진다.

일찍 나오는 새 순으로 새봄을 알리는 이 나무에게 가장 어울리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나무가 농부들을 재촉한다는 의미가 동화 같은 느낌으로 와 닿는다.

 

사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민간에서 부르던 나무이름의 유래는

수학문제처럼 답을 풀어내기가 불가능하고 검증할 방법 역시 없다.

이름에 얽힌 여러 이야기를 염두에 두고 어떤 나무를 보면서

제 나름의 이런 저런 상상을 즐기며 의미를 짚어보는 걸로 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