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며 높이 30m, 지름 1.5m 정도까지 자라는 갈잎큰키나무.
참나무류 중에서 가장 높은 지대까지 자라며, 잎가장자리에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
4~5월에 잎이 나면서 동시에 꽃이 피고, 도토리는 길이 1.5~2cm 정도다.
‘신갈나무는 잎이 신발 깔창을 닮아서 신갈나무라고 한다면서요?’
함께 산길을 가던 동생이 신갈나무를 보고서 뚱딴지같은 질문을 했다.
‘아니 그 무슨 혹세무민하는 소리냐? 신갈나무는 옛날부터 부르던 나무 이름이고,
깔창이 달린 신발은 적어도 20세기 이후의 일일 텐데 그게 말이나 되는 소린가.'
‘그야 그렇지만 잎 모양이나 크기가 깔창과 비슷해서 이름 외우기는 좋아요.’
듣고 보니 종종 헷갈리는 참나무 여섯 가지 중에 신갈나무를 알아보기에 딱 좋은 비유였다.
그리고 옛날 사람들이 신었던 짚신을 생각하면 그럴 개연성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짚신은 바닥이 매끄럽지 않아서 신갈나무 잎 몇 장만 깔면 한결 발이 편했을 것 같고,
바닥이 닳아 구멍이 났을 때도 이 잎을 깔고 며칠은 더 신지 않았을까 싶은 것이다.
나의 할머니도 집 주변에서는 짚신을 신다가 마실 나갈 때에만 하얀 고무신을 신었다.
동네 사람들 고무신이 모두 같아서 신발 코에 저마다의 표식을 해 놓았던 기억이 난다.
철이 없었던 그 시절에는 어서 고무신이 닳아서 엿과 바꿔먹었으면 좋겠는데
어른들은 왜 그리 고무신을 아끼면서 짚신만 신고 다니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잎 모양이 신갈나무와 비슷하고 크기는 두 배가 넘는 떡갈나무는
어른 얼굴을 완전히 덮을 수 있을 정도로 넓어서 구별하기가 쉽다.
떡갈나무는 옛날에 떡을 찔 때 잎을 시루 밑에 깔거나 떡 사이에 넣어서
떡이 서로 붙지 않고 좋은 향기를 배게 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요즘 떡갈나무 잎은 냉장고에 배인 냄새를 없애는 용도로 많이 쓰인다.
군대에 갔다 온 사람이나 전쟁을 치렀던 사람들은 신갈나무나 떡갈나무에 나름 감회가 있을 것이다.
이 나무들은 어디에나 흔하고 잎이 넓어서 신속하게 위장(僞裝)을 하는데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6.25전쟁 때의 기록 영상이나 사진을 보면
대부분 신갈나무나 떡갈나무 잎으로 위장을 하고 전투에 참가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나무들이 몸을 가려준 덕분에 귀한 목숨을 건진 사람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살아가면서 정말 고마운 것은 이 나무들처럼 필요할 때 가까이 있는 것들이다.
2020. 8. 25.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Thunb.
주로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에 분포하며 높이 20m, 지름 70c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폭 15cm, 길이 30cm 정도까지 자라고 뒷면에 회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4~5월에 잎이 나올 때 꽃이 피며, 도토리를 둘러싼 포가 털목도리처럼 풍성하다.
'꽃나들이 4 나무에 피는 꽃 > 울창한 숲의 거목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간의 추억과 물푸레나무 (0) | 2020.09.23 |
---|---|
참나무로 불리는 여섯 형제 (0) | 2020.08.27 |
우상복엽대왕 가래나무 (0) | 2020.08.24 |
피나무의 수난시대 (0) | 2020.06.24 |
울창한 숲의 거목들 목록 (0) | 201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