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나들이 4 나무에 피는 꽃/북방 높은 산의 나무

귀염둥이 꼬마 진달래 좀참꽃

좀참꽃    Rhododendron redowskianum Maxim.

 

백두산 일대의 높은 산지에서 한 뼘 높이로 자라는 진달래과의 떨기나무.

잎은 상록성이거나 반상록성이고 잎은 거꿀달걀모양으로 끝이 둥글다.

6~7월에 줄기 끝에 지름 2cm 정도의 꽃이 한 개씩 달린다.

 

 

 

 

2020년에는 9월 초에 백두산 천지 주변에 첫눈이 내렸다.

해마다 9월 중순 무렵에 첫눈이 내리는데 비해 보름 정도 빨랐다고 한다.

초순이나 중순이나 우리가 사는 땅에서는 미처 더위가 물러가지 않은 계절인데

먼 나라도 아닌 같은 한반도에서 그렇게 겨울이 빨리 오는 것이 놀랍다.

첫눈부터 눈이 녹을 때까지를 겨울로 치면 그곳의 겨울은 아홉 달이나 되는 셈이다.

 

백두산 천지를 덮은 얼음은 6월 중순이 넘어야 풀린다.

그때부터 고산화원의 봄이 시작되고 온갖 꽃들이 발 디딜 틈도 없이 다투어 핀다.

그리고 첫눈이 내릴 때까지 석 달은 봄 여름 가을을 구분하는 게 사실상 의미가 없다.

밤에 얼지 않고 낮 동안은 따뜻해서 식물들이 꽃 피우고 열매 맺기에 바쁜 계절일 뿐이다.

 

(용문봉 자락의 좀참꽃 군락. 6월 하순)

그렇게 높은 곳에 사는 식물들은 풀이나 나무나 대체로 한 뼘 남짓한 높이로 자란다.

좀참꽃도 그 작은 꽃들 중의 하나로 한 뼘 정도 자라는 작은 진달래라는 이름이다.

백두산 높은 곳과 그 주변에는 진달래과의 나무들이 유난히 많은데, 이를테면

노랑만병초, 담자리참꽃, 가솔송, 월귤, 들쭉나무, 백산차, 황산차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진달래 가족들 중에 좀참꽃은 크기로나 모양으로나 중간쯤 되는 위치에 있다.

 

노랑만병초와 담자리참꽃, 황산차, 그리고 좀참꽃은 진달래과 식물의 종가격인

진달래속( Rhododendron jenus)의 나무로 한눈에도 진달래의 형제들임을 알 수 있다.

그중에 막내격인 좀참꽃은 덩치도 작고 꽃 아래쪽이 벌어져서 다른 꽃들과 약간 다르다.

좀참꽃보다 더 작은 가솔송이나 월귤, 장지석남 같은 식물들은 같은 진달래과 내에서

각각 다른 속으로 분류가 되므로 분류계통으로 보면 좀참꽃이 분기점에 선 이정표처럼 보인다.

 

(씨방을 맺은 좀참꽃. 8월 초순)

좀참꽃은 백두산에 눈이 녹는 6월 하순에 꽃이 피고 8월 초순이 되면 거의 씨방이 여문다.

그 빨간 씨방도 꽃처럼 예뻐서 몇 걸음 앞에서는 저건 또 무슨 꽃일까 하고 다가가게 된다.

좀참꽃의 그러한 모습을 보면 전혀 진달래의 가족 같지 않아보이는 

가솔송이나 월귤, 장지석남 같은 작은 나무들도 진달래의  친척뻘인 걸 짐작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