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욤나무 Diospyros lotus L.
마을 주변이나 낮은 산에서 자라는 감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높이 5~10m.
암수딴그루로 5~6월에 꽃이 피고 늦가을에 지름1.5cm 정도의 열매가 익는다.
초등학교 실과 시간에 감나무는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 키워야한다고 배웠다.
감 씨를 그냥 심으면 감이 열려도 아주 자잘한 땡감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접붙이기를 해서 좋은 감을 얻는 원리를 똑 부러지게 설명할 지식은 없지만
고욤나무의 강한 생명력이 어린 감나무를 빠르고 튼튼하게 키워내는 걸로 알고 있다.
어떤 학자는 고욤의 ‘고’는 작은 감을 의미하고 ‘욤’은 어미를 뜻한다고 풀이했다.
(한국식물생태보감1. 김종원)
감나무의 대리모 구실을 하는 고욤나무 이름에 걸맞은 해석이기는 하나,
기록상의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걸 보면 그냥 주관적인 ‘풀이’ 정도로 여겨진다.
어떤 꽃벗이 작고 발그스레한 고욤나무 꽃을 보고 ‘귀욤귀욤!’하고 탄성을 질렀는데,
평생 나무를 연구한 학자의 이름풀이보다 그 한마디 감탄사가 더 내 마음에 와 닿았다.
고욤나무가 한반도에 들어온 시기는 최소한 천 년 전이라는 기록이 있고
길게는 삼천년 전의 지층에서도 발견되었다는 자료를 보았다.
원래 토박이 나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나무다.
고욤나무가 마을 주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건 인간의 활동과 관계가 깊다.
반세기 전 쯤 어렵던 시절에는 고욤 열매를 간식으로 즐겨 먹었는데,
씨앗을 빼고는 먹을 게 거의 없을 정도로 자잘하고 맛도 떨떠름했으나
서리맞은 열매를 단지에 재워 겨울이 되면 샤베트sherbet가 되어 달콤해졌다.
옛날 사람들은 고욤샤베트를 먹고 발라낸 씨앗을 집 주위에 뿌렸다.
다시 감나무를 기를 때를 대비해서 적절한 곳에 씨앗을 뿌린 까닭에
시골의 오래된 감나무들이 대부분 집 주변에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얼마 전에 산길을 가다가 열매가 풍성한 고욤나무를 우연히 발견하고는
이번 겨울에는 꼭 고욤샤베트를 만들어 먹어야겠다고 벼르게 되었다.
동네마다 아이들이 바글바글했던 시절에 좀처럼 내 차례가 돌아오지 않아
단 한 번밖에 먹어보지 못했던 아쉬움이 잠재적인 욕구로 자리잡은 탓이다.
늦은 황혼에 접어든 어른들에게 고욤샤베트 만드는 방법을 물었더니
이구동성으로 요즘 세상에 맛난 것들이 천지인데 그걸 왜 먹냐며 손사래를 친다.
나는 그 맛을 기대하기보다는 어린 시절의 달콤한 추억을 맛보고 싶은 것이다.
2020. 6. 22.
'꽃나들이 4 나무에 피는 꽃 > 주변의 큰키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경야독의 불을 밝혔던 쉬나무 (0) | 2020.07.08 |
---|---|
가죽나무와 참죽나무 (0) | 2020.06.29 |
느티나무 베어 달구지에 싣고... (0) | 2020.06.10 |
배리배리했던 시무나무 떡 (0) | 2020.05.11 |
나의 솔베이지 산돌배나무 (0) | 2020.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