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 두릅나무과
Hedera rhombea (Miq.) Bean
주로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하며 해안을 따라 인천과 울릉도에서도 볼 수 있다.
줄기에서 공중뿌리氣根를 내어 돌담이나 나무를 타고 15m까지 덩굴을 뻗는다.
10~11월에 5mm정도의 꽃이 우산모양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흑자색으로 익는다.
소가 잘 먹어서 소밥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두릅나무 송楤, 흰 소 악㹊으로 쓴다.
선운사 초입
도솔천 가 절벽에
눈 속에 홀로 푸른 저 송악
수백 수천 늙은 줄기
살았는가 죽었는가
무성하게 푸른 잎은
여전히 청춘이네
한 오백년 자리 지킨
그대에게 묻노니
선운사 쇠북소리와
풍경소리 여전하던가
白坡선사 비문 새기러 온
秋史는 보았는가
녹두장군 앞장 선
東學의 함성은 들었는가
동백나무 구경 온
未堂도 만났겠지
2019. 1. 3.
'꽃나들이 5 남녘 나무에 피는 꽃 > 덩굴로 자라는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도 숲의 매력 마삭줄 (0) | 2019.01.09 |
---|---|
안면도의 멋진 덩굴 먹넌출 (0) | 2019.01.05 |
남오미자와 흑오미자의 상반된 운명 (0) | 2018.12.16 |
청미래덩굴의 독백 (0) | 2018.12.07 |
토끼알 같은 이름 계요등 (0) | 201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