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팔수 膽八樹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 Hara
서귀포일대에서 소수 개체가 자생하는 담팔수과의 늘푸른큰키나무.
여러 장의 잎차례 중에서 1~3개가 붉은색을 띠어서 알아보기 쉽다.
7월 중순~8월에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5~20개의 꽃이 달린다.
담팔수는 늘푸른잎 중에 붉은 잎 몇 장이 섞여 있어서 멀리서도 알아보기 쉬운 나무다.
어느 한 계절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사계절 내내 한결같은 모습이어서 신기할 정도다.
담팔수의 이름은 한자로, 쓸개나 담력을 뜻하는 膽, 여덟 八, 나무 樹자를 쓴다.
풀이하자면 ‘쓸개가 여덟 개인 나무’라는 뜻인데, 도무지 의미를 짐작하기 어렵다.
그러다보니 잎이 여덟 가지 색으로 변한다느니 하는 어설픈 유래설도 떠다닌다.
초록색 잎이 붉게 변할 때 나타나는 중간색은 몇 개의 잎에서 짧은 기간 동안 나타나지만,
전체적으로 보여 지는 모습은 대체로 늘푸른잎들과 그 사이사이에 섞인 붉은 잎들뿐이다.
담팔수는 무슨 까닭으로 이렇게 몇몇 잎만 붉은 색깔을 내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나무는 아열대지방에 분포하며 제주도의 남쪽해안이 자생지의 북방한계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수십여 그루의 담팔수는 대부분 폭포나 계곡 주변에서 자란다.
그런 곳은 겨울에도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 거의 없고 사계절 습도가 유지되며,
주변에 다른 키 큰 상록수들과 어울려 거센 바람에도 서로 의지할 수 있다.
자생하는 담팔수들 중에는 오백 살이 넘고 높이가 15미터에 달하는 거목도 있어서
나무 아래에 마을의 신당이 차려지고 영험한 나무로 대접받기도 한다.
어느 날 서귀포 서쪽, 강정천 냇길이소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담팔수를 보고서
이 나무에 드문드문 섞인 붉은 잎과 그 이름의 의미를 어렴풋하게나마 알듯도 하였다.
오백년이 넘었다는 거목은 백 사람이 넉넉히 쉴만한 그늘을 드리웠는데,
그 그늘에 온통 붉은 낙엽이 깔려서 일부러 카펫을 깔아놓은 듯했다.
나무에 달려있는 잎들은 푸른데 간간히 붉은 잎이 섞여 있었다.
그렇다면 이 나무는 보통 나무들처럼 한꺼번에 잎갈이를 하지 않고,
조금씩 낙엽을 만들어 표 나지 않게 일년내내 떨어뜨리는 것이다.
(강정마을 냇길이소의 500년 묵은 담팔수.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 제 544호)
담이 큰 사람일수록 어떠한 상황에서도 좀처럼 얼굴빛이 변하지 않듯이,
언제나 변함없는 모습의 담팔수는 ‘담이 여덟 개인 나무’가 맞는 듯하다.
2018. 8. 2.
'꽃나들이 5 남녘 나무에 피는 꽃 > 늘푸른숲의 거목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다스의 저주를 푼 참식나무 (0) | 2018.08.11 |
---|---|
굴거리나무의 모래시계 (0) | 2018.08.10 |
옛날의 새댁을 닮은 새덕이 (0) | 2018.08.05 |
절부(節婦)의 향기 박달목서 (0) | 2017.10.15 |
아... 왜... 이런 이름을...아왜나무 (0) | 2017.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