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철란
Goodyera schlechtendaliana Rchb.f.
그늘진 숲에 자라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2~25cm.
잎은 짙은 녹색으로 잎맥을 따라 흰색 반점이 있다.
7~9월 개화. 7~15개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핀다.
한국, 일본, 중국, 쿠릴열도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알룩난초
꽃 탐사를 하면서 길을 잃었던 적이 서너 번 있었다.
사실은 길이 없는 곳을 탐사하다가 방향을 잃었던 것이다.
백두산 주변의 광대하고 어두운 삼림에서 헤맨 적이 있고,
한라산 자락의 원시림에서 나오는 길을 잃은 적이 있었다.
제주도의 그 특별한 원시림은 ‘곶자왈’이라고 부른다.
곶자왈은 화산분출 때 나온 용암이 요철지형을 이루어,
지하수를 풍부하게 저장하고 보온, 보습효과를 일으켜
열대식물의 북방한계선과 한대식물의 남방한계선이 겹치는
세계 유일의 독특한 숲이다.
곶자왈은 대체로 평탄하거나 경사가 완만하고 숲이 울창하여
평생 제주도에서 살아온 토박이들도 종종 방향을 잃는 것을 보았다.
길을 잃었을 때 당황스럽거나 두려운 마음보다는
뜻밖에 만나는 귀한 식물들이 주는 즐거움이 더 컸다.
늦여름, 제주도의 깊은 숲에서 길을 잃었을 때,
책에서만 보고 이름만 들었던 식물들을 만났었다.
섬사철란, 붉은사철란, 털사철란, 덩굴용담, 버어먼초, 백운란,
수정난풀, 애기천마 같은 귀한 식물들을 거저 만난 것이다.
제주도에서는 우리나라 자생란의 70%를 볼 수 있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사철란은 포만감을 느낄 정도로 만날 수 있다.
사철란이라는 이름은 일년내내 잎이 푸르다는 뜻일 게다.
제주도의 온난한 기후와 습도와 거름기가 풍부한 숲이
갖가지 사철란을 건강하게 키우고 있었다.
사철란들은 꽃도 여러 가지 색과 모양을 하고 있지만,
잎에 그물 무늬나 물결무늬가 있거나 없는 것도 있어서
여러 가지 다른 모습을 찾아내는 재미가 여간이 아니다.
그 재미에 길을 놓았다는 생각조차 까맣게 잊게 된다.
제주도에는 곶자왈처럼 길 잃기 좋은 숲이 있어서 좋다.
그러한 곳에서 길을 잃어버리면 수천 년의 시간을 거슬러
태고의 원시를 느끼며 맑은 고독을 맛볼 수 있어서 좋다.
갖가지 모습을 한 사철란 같은 요정들과 만나기 위해서도
제주 곶자왈 숲에서 한번쯤은 더 길을 놓아버리고 싶다.
2013. 8. 2. 꽃 이야기 277.
애기사철란
Goodyera repens (L.) R.Br.
해발 1,500m 이상의 그늘지고 이끼 있는 침엽수림에 자란다.
높이 8~20cm. 잎의 윗면은 진한 녹색에 흰색 맥이 있다.
7~8월 개화. 5~12개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피고, 털이 있다.
한국 및 북반구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이명] 산알록난초, 산얼룩난초
섬사철란
Goodyera maximowicziana Makino
울릉도, 남해안의 섬, 제주도의 그늘진 숲에 난다.
높이 5~10cm. 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잎에 희미한 맥만 보이고 무늬가 없다.
9~10월 개화. 연분홍, 흰색의 꽃이 3~7개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반만 열린다.
한국, 일본, 쿠릴열도,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산닭의난초, 줄사철란
붉은사철란
Goodyera macrantha Maxim.
전남, 제주의 습도가 높은 숲속에 자란다.
높이 4~8cm. 줄기가 땅에서 옆으로 긴다.
잎은 짙은 회녹색이고, 가운데 맥을 중심으로
흰색 그물무늬가 있으며 2~3개가 모여 난다.
7~8월 개화. 1~3개의 꽃이 피며 짧고 투명한
털이 있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털사철란
Goodyera velutina Maxim. ex Regel
제주도의 그늘진 숲에 자란다. 높이 10~20cm.
줄기가 붉은빛과 녹색을 띠는 갈색이며 곧다.
잎은 윤기가 있으며 앞면은 짙은 녹색,
중앙 맥은 희거나 붉고, 뒷면은 자주색이다.
7~9월 개화, 4~10개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핀다.
한국 특산종. [이명] 병아리난초, 자주사철란
* 털사철란과 붉은사철란의 자연교배종으로
탐라사철란(Goodyera tamnaensins )이 있다.
로젯사철란
Goodyera rosulacea Y. Lee
그늘지고 다소 습한 숲에 자란다. 높이 20~40cm.
잎은 로젯형으로 4~8개가 방사상으로 난다.
7월 개화. 20개의 꽃이 한쪽으로 차례로 핀다.
한국 특산.
*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올라있지 않으며
1997년에 한국사철란으로 발표되었다.
'꽃나들이 2 > 제주도와 울릉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식물들 (0) | 2013.10.10 |
---|---|
가장 울릉도다운 식물 섬노루귀 (0) | 2013.08.25 |
서러운 이방인 제주의 선인장 (0) | 2013.07.03 |
피뿌리풀의 멸종 (0) | 2013.03.31 |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는 버어먼초 (0) | 201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