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나온 식물들 외에 제주 특산 식물이나 거의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꽃들 중에서 아쉬움이 남는 몇 가지를 뽑아 보았다.
깔끔좁쌀풀
Euphrasia coreana W.Becker
한라산 1500m 부근의 초지에 나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5~10cm. 8~9월 개화. 꽃의 지름 2mm 정도.
[이명] 깔끔깨풀
실꽃풀
Chionographis japonica (Willd.) Maxim.
한라산 자락의 난대림에 나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cm 정도. 5~7월 개화. [이명] 실마리꽃
나도생강
Pollia japonica Thunb.
습도가 높은 숲 그늘에 나는 닭의장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80cm. 7~8월 개화. 전남 완도, 일본에도 분포한다.
[이명] 개양하, 나도새양
갯금불초
Wedelia prostrata Hemsl.
바닷가 모래땅에 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땅을 기고 마디마다 뿌리를 내린다.
7~10월 개화. 두상화의 지름 2cm 가량.
모래 유실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주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이명] 모래덮쟁이, 털개금불초
방울꽃
Strobilanthes oliganthus Miq.
물가 그늘에 나는 쥐꼬리망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60cm. 줄기는 사각형이고 잎이 마주난다.
9월 개화. 꽃의 지름 2.5cm 가량. 제주도와 일본에 분포한다.
[이명] 광대나물아재비, 자운채, 자주구름꽃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Makino
습지에 나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50cm.
줄기가 곧게 서고, 잎이 4장씩 돌려난다. 8~10월 개화.
제주도 특산 식물은 아니지만 육지에서는 보기 힘들다.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도 분포한다.
[이명] 꼬리풀, 물꼬리풀
비자란
Sarcochilus japonicus (Rchb.f.) Miq.
제주도의 상록수림에 착생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난초.
기근(氣根)이 줄기 중간에서 길게 나오고, 줄기는 가늘다.
5월 경 개화. 꽃의 지름 7~8mm.
제주도와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제주난초
한라천마
Gastrodia verrucosa Blume
숲속에 나는 여러해살이풀. 잎이 없는 부생란이다.
꽃줄기의 높이 1~5cm. 연한 적갈색이다.
8~9월 개화. 꽃의 지름, 길이 1cm 가량.
제주도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애기천마
Hetaeria sikokiana (Makino & F.Maek.) Tuyama
활엽수림의 낙엽층에 나는 여러해살이 부생란.
높이 5~15cm. 천마와 같은 속이 아니다.
7~8월 개화. 5~10송이가 이삭꽃차례로 난다.
제주도, 백양산 및 내장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무엽란
Lecanorchis kiusiana Tuyama
상록 광엽수림 밑에 나는 부생란. 높이 10~20cm.
줄기는 가늘고 곧게 서며, 마르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6~7월 개화. 꽃의 길이 1cm 미만.
제주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차걸이란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큰 나무에 매달려 사는 여러해살이풀.
잎이 두 줄로 늘어서고 끝이 뾰족하다. 4~6월 개화.
제주도와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나도제비난, 이삭난초, 차걸이난
흑난초
Liparis nervosa (Thunb.) Lindl.
산록 숲 속에 나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20~30cm.
6~7월 개화. 암자색의 꽃 5~10 송이가 떨기꽃차례로 핀다.
제주도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2013. 10. 10. 꽃 이야기 331.
'꽃나들이 2 > 제주도와 울릉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와 울릉도 (0) | 2013.10.10 |
---|---|
암대극 (0) | 2013.10.10 |
가장 울릉도다운 식물 섬노루귀 (0) | 2013.08.25 |
제주 곶자왈의 요정들, 사철란 (0) | 2013.08.02 |
서러운 이방인 제주의 선인장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