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
길가나 습지에 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1.5m.
줄기가 네모지고, 털이 없고, 검은자주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깃꼴 겹잎으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9~10월 개화. 씨앗에 갓털은 2개이며, 옷에 잘 달라붙는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가무잡잡한 시골 소년이 더 가맣게 되는 날이 있었다.
동네 아이들이 소를 먹이다가 심심하거나 출출해지면,
한 아이가 오늘은 누구 집 밀사리를 해먹자고 부추긴다.
덜 익은 밀을 한 아름 서리 해다가
모닥불에 껍질만 탈 정도로 불사르면 낱알이 맛있게 익었다.
숯처럼 된 밀 이삭을 후후 불며 손바닥으로 비벼서 까낸
따끈따끈한 연두색 밀알들은 고소하고 쫀득한 맛이 났다.
밀은 오월에, 콩은 구월쯤 사리를 해먹었으니 계절도 좋았다.
그 무렵 시골 아이들은 하나 같이 가무잡잡하고 꾀죄죄했지만,
사리를 해먹고 난 공범들은 손과 뺨에 더 까만 물증을 남겼다.
이 아름다운 추억의 '사리'가 국어사전에는 나와 있지 않다.
‘서리’는 ‘떼를 지어 남의 과일, 곡식, 가축 따위를 훔쳐 먹는 장난’으로
나와 있어서 먼 훗날에도 쉽게 잊히지 않을 말이지만,
설익은 밀이나 콩을 살라먹는 '사리'는
표준말이 달리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사전에 나와있지 않다.
사리라는 말을 들어본 기억조차 가물가물하지만,
가막사리를 만나면 그 추억의 불쏘시개가 된다.
가막사리는 논두렁이나 냇가의 풀밭에서 잘 자라는데,
가을에는 누가 불이라도 사른 것처럼 가맣게 변한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가막사리는 거의 미국가막사리다.
토종 가막사리는 미국가막사리보다 키가 작고 잎 모양이 많이 다르다.
누군가 '미국가막사리'가 빠르게 영역을 확장해 가는 것을 보고
‘가서 막 살아라’고 미국에서 보낸 녀석이라며 우스갯소리를 했다.
(미국가막사리)
가을 한낮에 가막사리를 보면 불에 그을린 듯
가무잡잡해서 몰골이 남루하기 짝이 없지만,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해를 등진 가막사리를 보면
갖가지 색이 잘 어우러진 화려한 단풍이 된다.
그 시절은 초라했지만 추억이 되면 아름다와 진다.
관점이나 입장을 바꾸어 사물이나 사람을 바라보면
새로운 모습을 보게 되고 그것은 대체로 좋은 것이다.
2009. 10. 22. 꽃 이야기 153.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L.
밭둑이나 물가의 습지에 나는 한해살이풀. 높이 20~100cm.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담녹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깊게 3~5갈래. 가장자리 톱니가 부드럽다.
8~10월 개화. 갓털 3~4개에 가시가 있어서 달라붙는다.
어린 순은 식용, 전초는 약용한다.
[이명] 가막살, 제주가막사리, 털가막사리
나래가막사리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북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2~2.5m.
'가막사리'라고는 하나 가막사리속에 포함되지 않는다.
줄기에 지느러미 같은 좁은 날개가 붙어 있다.
8~9월 개화. 귀화식물로 충청도 이남에 주로 분포한다.
'꽃나들이 2 > 습지와 냇가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나비가 야단법석을 벌이는 부처꽃 (0) | 2013.04.24 |
---|---|
옛날의 도랑에서 만났던 구와말 (0) | 2013.02.17 |
풀꽃 중의 신선, 돌단풍 (0) | 2013.01.09 |
모세가 생각나는 식물, 뚜껑덩굴 (0) | 2012.11.23 |
삼천 년 논둑길의 이야기를 간직한 논뚝외풀 (0) | 201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