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삼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산과 들에 나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80~ 120cm.
뿌리는 비대하고 매우 쓴맛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6~8월 개화. 열매는 씨와 씨 사이가 잘록한 염주 모양이다.
뿌리는 장염, 황달, 식중독, 심장병 등에 약용한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도둑놈의갈고리, 너삼, 뱀의정자나무, 능암(북한명)
나는 '고삼'이라는 말만 들어도 안쓰러운 생각이 든다.
인생의 꽃다운 시절에 세상 짐 다 짊어진 듯한 죄 없는 죄인,
'高三'은 '청춘의 족쇄'라는 말에 다름이 아니다.
고삼(苦蔘)이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이 있다.
이 식물을 보면 단지 그 이름 때문에, 풍성한 꽃차례가
오만 가지 걱정거리를 주렁주렁 달고 있는 듯이 보인다.
원래 '苦蔘'은 한약재로 쓰는 이 식물의 뿌리였는데,
용담이나 현호색럼 한약재명이 바로 식물명이 된 것이다.
苦蔘은 '쓴 인삼'이라는 뜻이다. 인삼이 본래 쓴 것인데
‘쓴 인삼’이라고 하니 얼마나 쓴지 상상이 닿지 않는다.
고삼에는 '도둑놈의지팡이'라는 고약한 별명이 붙어있다.
그 수상한 이름에는 직감적으로 혐의가 가는 옛일이 있다.
1970년대 이전에는 도둑질이 쉬운 허술한 집들이 많았다.
골목길을 지나는 사람이 창을 통해 방안을 엿볼 수도 있고,
집안으로 쉽게 넘어 들어갈 수도 있었다.
그 시절에는 이런 창문으로 끝이 꼬부라진 지팡이를 밀어 넣어서
벽에 걸린 옷가지나 가방들을 훔쳐내는 도둑이 많았다.
이런 옛일을 생각하면 긴 꽃대에 꽃들을 주렁주렁 달고 있는 고삼이
왜 '도둑놈의지팡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는지 짐작이 되는 것이다.
살아가면서 도둑을 맞지 않는 방법이 한 가지 있기는 하다.
‘무소유’의 삶을 살고 가신 어느 스님의 가르침대로
소유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도둑맞을 것이 없을 터이다.
할 수만 있다면 그 스님의 보석 같은 가르침을
내 마음 속 지팡이에 주렁주렁 꿰어 보고 싶다.
그런 상상을 하면서 꽃을 대하면 고삼의 연두색 꽃들이
신라 금관에 달린 영롱한 곡옥(曲玉)으로 보인다.
2013. 1. 30.
꽃이야기 134.
'꽃나들이 1 > 한여름의 숲과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으로의 긴 여행, 박주가리 (0) | 2013.02.06 |
---|---|
어머니의 뜰에 심었던 꽃, 원추리 (0) | 2013.01.31 |
파리끈끈이의 원조, 파리풀 (0) | 2013.01.16 |
무일푼으로 자수성가한 타래난초 (0) | 2012.12.25 |
유년의 추억으로 가는 이정표, 짚신나물 (0) | 201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