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삭물수세미
Myriophyllum spicatum L.
연못이나 논의 고랑에 나는 개미탑과의 여러해살이 수초.
물의 깊이에 따라 크기가 다르며, 길이 1m 이상 자라는 것도 있다.
6~10월 개화. 물위 줄기 끝에 수꽃은 위쪽, 암꽃은 아래쪽에 달린다.
어항용 수초로 쓰인다. 한국 등 세계 전 지역에 분포한다.
[이명] 붕어마름, 이삭물수셈이
나는 자연 속에서 니어링 부부나 소로우처럼 살기를 소망한다.
소박한 오두막 짓고 자그마한 텃밭 하나 가꾸고 살면 좋겠다.
이 작은 꿈을 언젠가는 이루리라는 희망만으로도 행복하다.
그러한 전원생활에서 우선 기르고 싶은 것이 수세미다.
작은 텃밭이 있는 집에서 살았던 몇 년 동안
수세미를 길러서 이웃에게 나누어 준 적이 있었다.
수세미의 덩굴이 완전히 마르는 늦가을까지 그냥 두었다가
마른 껍질을 벗겨내고 절반을 뚝 잘라서
까만 씨앗들을 툭툭 털어내면 바로 훌륭한 수세미가 되니
그 보다 쉽고 쓸모 있고 부담 없는 선물이 또 어디 있으랴 싶다.
오늘날 과학기술이 발달해서 좋은 소재가 많이 나왔어도
자연이 만든 수세미만큼 좋은 수세미를 보지 못했다.
자연수세미는 어떤 화학 섬유보다도 질기면서도 부드럽고
그릇을 닦는 느낌과 손에 잡는 느낌이 좋다.
잘 자란 수세미 두어 개를 몇 토막으로 나누어 쓰면
식구가 단출한 집에서는 일 년 동안 넉넉히 쓸 수 있다.
수세미의 해면 조직은 적절하게 성기어서 때가 잘 빠지고
잘 마르기도 해서 오래 써도 새것처럼 색이 밝고 위생적이다.
'개미탑과'의 수생식물인 물수세미와 이삭물수세미는
수세미를 만드는 '박과'의 '수세미오이'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이들 물수세미류의 식물은 젖병 닦는 솔 모양인데,
이름만 수세미일 뿐 수세미로 쓸 만큼 질기지 못하다.
그러나 이들은 수질정화능력이 뛰어난 식물이니 진정한 물 수세미다.
수세미는 때를 묻히거나 흡수하지 않으면
그릇을 깨끗하게 하거나 물을 정화 할 수 있다.
맑고 사심 없는 분들도 질시와 험담을 받는 일이 있다.
나라의 큰 어른으로서 만백성의 존경을 받았던 분들에게도
소인배들은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비난을 퍼붓곤 한다.
별별 사람들이 사는 세상에서 이런 저런 소리를 듣기 싫어서
말과 행동을 아끼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세상은 혼탁하다.
제 몸에 때묻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 작은 수세미들은
망설임이 많아지는 나이에 용기를 주는 큰 스승이다.
수세미들은 제 몸에 아무리 때를 묻혀도 늘 깨끗하다.
2012. 3. 8. 꽃이야기 42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연못에 나는 여러해살이 수초. 큰 것은 길이가 50cm에 달한다.
물속의 진흙 속으로 뿌리줄기를 뻗는다. 5~7월 개화.
줄기 위에 수꽃, 밑에는 암꽃이 달린다. 어항용 수초로 쓰인다.
세계 전역에 분포한다. (이삭물수세미보다 위도가 높은 지역)
[이명] 붕어풀, 금붕어풀
개미탑
Haloragis micrantha (Thunb.) R.Br. ex Siebold & Zucc.
산이나 들의 습한 양지에 나는 개미탑과 개미탑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 줄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작은 잎들이 마주 난다.
7~8월 개화. 한국(중부 이남), 일본, 말레이시아, 호주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개미탑풀
'꽃나들이 2 > 물 위에 피는 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송이 물질경이를 피우기 위하여... (0) | 2012.09.08 |
---|---|
먹으면 졸음이 온다는 조름나물 (0) | 2012.05.09 |
살아있는 자연사 박물관, 개연꽃 삼형제 (0) | 2012.03.05 |
세상에서 제일 작은 꽃을 피우는 검정말 (0) | 2011.12.24 |
물 위에 내린 봄날의 눈꽃, 매화마름 (0) | 201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