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나들이 2/물 위에 피는 꽃들

살아있는 자연사 박물관, 개연꽃 삼형제

남개연

Nuphar pumilum var. ozeense (Miki) Hara

 

못이나 흐름이 느린 하천가에 자라는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

물 속 줄기는 1m 정도고 꽃대는 15cm 정도로 물 위에 올라온다.

5월 말~9월 개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오제왜개연(일본 중부 고산습원 ‘Oze'란 곳에서 처음 발견됨.)

 

 

 

 

 

 

물 위에 노란 막대사탕처럼 피는 꽃이 있다.

그들은 개연꽃, 왜개연꽃, 그리고 남개연 중의 한 가지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이름을 불러주는데 자신없어하지만

조금만 눈여겨보면, 이들 삼형제를 쉽게 가려낼 수 있다.

 

이 삼형제 중에 ‘개연꽃’이 맏이일거라고 믿는다.

이름 앞에 ‘개’가 붙어서 자존심은 상하지만

그래도 연꽃이라고 잎을 물 위로 힘겹게 쳐들고 있는 것이

순종적이고 무던한 맏이의 성향을 닮았기 때문이다. 

 

둘째는 ‘왜개연꽃’이 틀림없다.

왜개연꽃은 ‘개’라고 천대받는 주제에 ‘왜’ 연꽃 흉내 내느라

잎을 힘들게 들고 있냐며, 잎을 물 표면에 턱 놓아버렸다.

형제들 간에도 둘째는 이런 반항적인 성격이 많다.

 

(왜개연꽃, 밖으로부터 노란 꽃받침 5장, 내부에 퇴화된 짙은 갈색 꽃잎12개, 그 안쪽이 수술, 가운데가 노란 암술머리, 전남 동복)

 

막내는 ‘남개연’일 것이다.

기왕에 '개'라는 오명을 썼으니 대접받으며 살기는 틀렸고

‘남’들보다 튀어야 잘 살기라도 하지 않겠냐며 빨간 립스틱을 발랐다.

역시 자유분방한 막내의 기질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이들 형제간의 터울은 몇 백만 년인지 몇 만 년인지 모르겠지만

45억 년쯤 된다는 지구의 나이에 비추어보면 그리 긴 터울도 아니다.

요즈음 우리나라에서는 자연 상태의 개연꽃을 보기 힘들다.

왜개연꽃과 남개연은 어렵사리 만날 수 있지만,

어느 종이 더 번성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막연하지만 개연꽃은 대자연사(大自然史)의 뒤안길로 사라져가고,

남개연이 개연꽃 가문의 명맥을 이어 번성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사실 이 생각이 막연한 것만은 아니다.

언젠가 울릉도 여행을 갔을 때, 한 시간 동안 배를 기다리며

 재미있는 관찰을 한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남개연, 왜개연꽃과 마찬가지로 밖으로부터 노란 꽃받침 5장, 퇴화된 꽃잎, 많은 수술, 붉은 암술머리로 배열됨. 전남 화순)

 

부둣가에 똑같이 생긴 리어카 노점상 셋이 나란히 늘어서서

오징어를 구워 팔고 있었는데, 그 중 한 집에만 유난히 손님이 몰렸다. 

손님은 거의 여행자들이라 어느 곳이 맛있는지 모를 것이고,

사람들이 오고 가는 곳이라 오른쪽, 왼쪽 위치도 차이가 없고,

모두 예순 정도 되어 보이는 아주머니들이라 그 미모를 볼 것도 아닌데도

사람들은 멀리서부터 망설임 없이 한 집으로만 가는 것이었다.

 

굳이 그 세 가게의 차이라면 가게 이름뿐이었다.

그 이름들은 ‘빨간모자 자야’, ‘탱자 아지매’, ‘부산 아줌마’였다.

이 세 이름이 주는 느낌에서 고객들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여행에서 돌아와 몇 달이 지나도 ‘빨간모자 자야’는 기억이 나는데,

다른 가게 이름은 그 때 찍은 사진을 보고서야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가게들의 이름을 떠올리면 덩달아 개연꽃 형제들도 생각난다.

자연은 수천, 수만 년 동안 그 선택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노랑 암술머리의 왜개연꽃이냐, 빨강 암술머리의 남개연이냐를....

고객들은 제나름의 기준과 느낌으로 물건이나 가게를 선택한다.

선택되는 것이 강한 것이고, 강한 것이 살아남는다.

 

2012. 3. 5. 꽃이야기 41.

 

 

 

개연꽃

Nuphar japonicum DC.

 

꽃은 노란색. 잎이 물 위로 솟아 있음.

6~7월 개화. 뿌리. 원줄기. 잎은 약용, 어린잎은 식용.

한국(중부 이남), 일본에 분포.

[이명] 개구리연, 개연, 개련꽃, 긴잎좀련꽃, 긴잎련꽃

 

* 참개연꽃( Nuphar subintegerrimum (Casp.) Makino)은

   북한 황해도 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짐.

 

 

 

 

왜개연꽃

Nuphar pumila (Timm) DC.

 

꽃은 노란색. 잎이 물 표면에 붙어 있음.

8~9월 개화.

한국(전남, 함남), 동북아시아, 유럽에 분포.

[이명] 물개구리연, 북개연, 왜개련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