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나들이 5 남녘 나무에 피는 꽃/낙엽지는 큰키나무 썸네일형 리스트형 碑木의 그늘에 가려진 비목나무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Makino 주로 남부지방의 산지에서 6~10m 정도로 자라는 녹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암수딴그루로 4~5월에 새가지 밑 잎겨드랑이에서 연한 황색 꽃이 모여 핀다. 열매는 지름 7mm 정도의 구형으로 9~10월에 붉게 익는다. 충무공(忠武公)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조선시대 오백년 역사에서 충무공 시호를 받았던 남이, 정충신, 김시민 등 다른 훌륭한 여덟 분의 장군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 같다. 또 이순신(李舜臣)장군 휘하 장수였던 이순신(李純信)장군을 기억하는 사람도 드물 것이다. 동명이인의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이 너무 걸출하면 다른 사람이 기억되지 못하듯이, 가곡 ‘비목’을 부르는 사람은 많아도 .. 더보기 아름다운 꽃나무 산딸나무 산딸나무 층층나무과 Cornus kousa F.Buerger ex Hance 중부 이남의 산지에 분포하며 따뜻한 남쪽지방으로 갈수록 흔하다. 10m까지 자라며,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5~6월에 총포가 흰색으로 변하고, 양성화가 머리모양꽃차례로 핀다. 五月耽羅處處紅 오월의 탐라는 곳곳.. 더보기 단풍이 고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옻나무과 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ze 전남 흑산도, 홍도 및 제주도의 낮은 산지의 숲속에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보통 5m 높이로 자라나 난대림에서는 키 크기 경쟁으로 아주 높게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줄기 끝에서 녹백색의 꽃이 원뿔모양꽃차례로 핀다. 옻나무는 이.. 더보기 윤노리나무 단상 윤노리나무 장미과 Photinia villosa (Thunb.) DC. 중부 이남에 분포하며 주로 남부지역의 산지에서 볼 수 있다. 2~5m 높이로 자라며, 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다. 4~5월에 지름 1cm정도의 꽃이 편평꽃차례로 모여 핀다. 윤노리나무는 큰키나무(喬木)라고 하기는 작고 떨기나무(灌木)라.. 더보기 사람주나무에서 본 나부의 모습 사람주나무 대극과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경북, 전북 이남과 중부지방의 바다 가까운 지역의 숲과 계곡에 자란다. 4~6m 정도 자라며, 수피가 희고, 가지나 잎을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5~6월에 10cm정도의 총상꽃차례 윗부분에 수꽃, 아래쪽에 암꽃이 핀다. 사람주나무는 한 .. 더보기 팽나무 집안의 팍팍한 이름들 팽나무 팽나무과 Celtis sinensis Pers. 전국에 분포하나 남부지방과 제주도의 바다 가까운 지역에 많이 자란다. 높이 20m, 지름 2m 정도로 성장하고, 잎가장자리의 중간부터 톱니가 있다. 수꽃양성화한그루로, 4~5월에 수꽃은 가지 아래쪽에, 양성화는 위쪽에 달린다. 열매는 지름 6mm정도의 구형.. 더보기 오지랖 넓은 나도밤나무 나도밤나무 나도밤나무과 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 주로 남부지방과 제주도 산지에 자라며 해안을 따라 서해 중부 연안까지 분포한다. 20m높이까지 자라고, 잎이 밤나무와 비슷한데 측맥이 20~28쌍으로 조밀한 편이다. 6~7월에 지름 3mm정도의 꽃들이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루고 열매는 붉게 .. 더보기 너도밤나무가 울릉도로 간 까닭은 (이우락님 사진) 너도밤나무 참나무과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울릉도의 산지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높이 25m정도의 거목으로 자란다. 밤나무 잎과 비슷하나 잎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잎맥은 9~14쌍이다. 암수한그루로 4~5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1.5cm정도의 세모꼴이다. 너도밤나무는 울..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