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나들이 1/여름과 가을사이

사라진 빈대, 남은 땅빈대 큰땅빈대Euphorbia maculata L. 들의 풀밭에 나는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20~30cm. 줄기는 비스듬히 서서 자라며 잎은 마주 난다. 8~9월 개화. 술잔모양 꽃차례(杯狀花序)로 꽃이 핀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한국 전역에 분포한다. [이명] 애기땅빈대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 더보기
마타리와 마타하리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산과 들의 양지에 나는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60~150cm.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밑에서 새싹이 나와 자란다. 8~10월 개화. 어린 식물은 식용한다. 한국(전역), 동북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가얌취, 가양취, 미역취 소녀가 산을 향해 달.. 더보기
암까치깨를 잃은 홀아비, 수까치깨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산과 들에서 자라는 벽오동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60cm 내외. 전체에 털이 나 있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8∼9월 개화. 10개의 수술과 그 보다 긴 5개의 헛수술이 있다. 열매는 길이 3∼4cm로 털이 있고 3갈래로 갈라진다. 한국, 일본, 중국 동.. 더보기
야화식물(野化植物) 어저귀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Medicus 인도 원산,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5m 가량. 둥근 줄기의 껍질을 섬유용으로 쓰기위해 재배했으나, 현재는 과거의 경작지 부근에서 야화되어 자생한다. 7~9월 개화. 전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이명] 모싯대, 오작이, 청마 어저귀는 꽃들의 왕이 되고 싶어서 .. 더보기
아주 오래된 이름, 멸가치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Edgew. 산이나 들의 그늘지고 습한 곳에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 8~10월 개화.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개머위, 명가지, 옹취, 총취 멸가치는 그늘진 등산로를 따라 흔히 볼 수 있.. 더보기
담배풀에서 피어나는 담뱃대의 역사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Siebold & Zucc. 산이나 들에 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 담배풀 종류 중에서 담뱃대 모양을 가장 많이 닮았다. 8~10월 개화. 두상화의 지름 1cm가량. 아래를 보고 핀다. 어린 순을 식용, 성숙한 식물체는 약용한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 더보기
산삼보다 더 좋다는 약초, 하수오 하수오 Fallopia multiflora (Thunb.) Haraldson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뿌리가 뻗으면서 군데군데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8~9월 개화. 괴근(적하수오)을 약용한다. 중국원산, 약용식물로 재배하던 것이 야화(野化)된 것이 많다. 언젠가 하수오 이야기를 인터넷에서 보고 스크랩을 해 두었다.. 더보기
소경불알은 어떻게 생겼을까 소경불알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숲 속에 자라는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잎이 4장씩 뭉쳐나며 그 중 한 장이 작다. 7~9월에 개화. 꽃 안쪽에 반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뿌리는 둥글며 식용할 수 있으나 향기가 거의 없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