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나들이 5 남녘 나무에 피는 꽃/사철푸른 떨기나무

호랑가시나무에서 얻은 위안



  



















호랑가시나무   

Ilex cornuta Lindl. & Paxton

 

변산반도 이남의 저지대에 자라는 감탕나무과의 늘푸른떨기나무.

잎은 방패모양의 가죽질이고 가장자리가 가시로 발달했다.

암수딴그루로 4~5월에 지름 5mm 정도의 녹백색꽃이 핀다.

 

 

호랑가시나무는 잎 가장자리에 호랑이만큼 무서운 가시가 있다는 이름이다.

호랑이가 등이 가려우면 이 가시로 긁는다는 풀이도 있고, 범의발나무라고도 한다.

고양이발톱이라는 뜻의 묘아자描兒刺라는 이름까지도 모두 잎의 가시에서 비롯되었다.

내가 호랑가시나무를 처음 본 건 어릴 적에 크리스마스카드에 등장한 그림이었다.

그때는 이름도 몰랐고 그저 크리스마스를 장식하는 서양의 식물로만 여겼었다.



호랑가시나무는 영어로 성스럽다는 의미로 holly 또는 holly tree라고 부른다.

서양사람들이 이 나무를 성스러운 나무로 부르게 된 것은 잎의 날카로운 가시와

겨울에 빨갛게 익는 열매에서 거룩한 분의 고통과 희생을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잎의 가시는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쓴 가시면류관을, 붉은 열매는 그분의 피를 상징한다.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오를 때 로빈(티티새)이라는 작은 새가 고통을 덜어주려고

부리로 가시를 뽑아내려다 그 가시에 찔려 피를 흘리며 죽어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런 맥락에서 불우한 이웃을 돕기 위해 기부를 하고 그 증표로 받는 사랑의 열매도

호랑가시나무의 붉은 열매에서 모티브가 나왔다는 설이 있으나 사실 무근한 이야기다.

사랑의 열매를 고안하고 모금을 하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기독교와 상관이 없고,

그 홈페이지에서도 백당나무의 열매가 사랑의 열매와 가장 닮았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 나무에는 성스러운 상징성 외에도 악귀를 쫓는다는 민간 신앙도 있었다.

호남지방에는 해마다 2월에 이 가시에 정어리 눈을 꿰어 처마 밑에 달아놓으면

집안에 들어오려던 귀신의 눈이 찔려 도망간다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고,

유럽에서도 악령을 쫓기 위해 이 나뭇가지를 현관문에 걸었다고 전해진다.

이런 풍습에서 이 나무의 꽃말이 가정의 평화와 행복’이 되었지 싶다.


(호랑가시나무의 암꽃(왼쪽)과 수꽃(오른쪽))


어쨌거나 호랑가시나무도 봄에는 나름 자잘하고 예쁜 꽃을 피우는데,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은 온통 잎의 가시와 겨울의 붉은 열매에만 쏠려있다.

호랑가시나무에서 얻은 한 가지 위로는 젊어서 아름답게 꽃 피우지 못했어도

나이 들어서 멋들어진 열매를 맺을 기회는 아직 남아있다는 것이다.

 

2018.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