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에풀
Dopatrium junceum (Roxb.) Ham. ex Benth.
논이나 습지에 나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0~3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잎은 마주나며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7~9월 개화. 잎겨드랑이에서 두 개씩 쌍으로 달린다.
한국(중부 이남),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방울조풀
등에풀은 물이 얕게 고이는 습지나 논에 무리지어 산다.
‘새로운 한국식물도감’(이영노, 2006)에 의하면
열매가 등에의 눈처럼 생긴데서 나온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등에풀을 보니 이 내용에 별로 공감이 가지 않았다.
오랜 기간을 두고 많은 개체들을 관찰하지는 못했지만
어디서도 등에 눈을 닮은 모습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런 말이 나왔을 만한 가능성을 몇 가지 생각해 보았다.
우선 근연종인 진땅고추풀류이나 물꽈리아재비류들처럼
열매가 길쭉하지 않고 동그란 데에 주목했을 가능성이다.
등에풀의 다른 이름 ‘방울조풀’ 도 이 풀의 열매가
다른 근연종들과 달리 동그랗다는 것을 내세우는 듯하다.
‘진땅고추풀’은 등에풀과 같은 습지에서 자라고,
모양도 아주 비슷해서 가까운 친척으로 보인다.
진흙땅에 살고, 그 열매가 고추를 닮았다는 이름이다.
실제로 작은 고추모양의 길쭉한 열매가 붉게 익는다.
‘물꽈리아재비’는 등에풀과 먼 친척벌로 보인다.
이 식물은 물기가 많은 땅에 사는 식물이며,
꽈리 비슷한 열매를 만들기 때문에 붙은 이름인 듯하다.
등에의 눈을 닮았다는 말이 나올 법한 두 번째 가능성은,
꽃봉오리가 등에의 눈처럼 나란히 맺히는 데서 찾아보았다.
등에풀은 꽃자루가 없이 꽃봉오리 두 개가 먼저 맺힌다.
꽃이 필 때는 꽃자루가 V자 방향으로 각을 이루어 5mm쯤 자라고
열매가 익을 때는 15mm 정도까지 자라서 열매 사이도 벌어지므로,
등에 눈의 모양과도 거리가 점점 멀어진다.
열매가 아니라 붙어있는 두 개의 꽃봉오리가 등에의 눈을 더 닮았다.
마지막으로, ‘열매가 등에의 눈을 닮았다’는 명제에서
‘열매’는 ‘씨앗’의 오기(誤記)일 가능성도 생각해 보았다.
아는 분 중에 식물의 종자를 촬영하는 재미에 푹 빠진 분이 있는데,
그 분의 사진에 나온 등에풀 씨앗은 등에의 눈과 아주 비슷하였다.
씨앗은 열매 속에 들어 있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종자 알갱이지만
‘열매’와 ‘씨앗’을 가리지 않고 쓰는 경우도 흔히 보았기 때문이다.
(우측사진: 등에풀의 씨앗)
2013. 9. 9. 꽃 이야기 319.
진땅고추풀
Deinostema violacea (Maxim.) T.Yamaz.
논밭이나 습지에 나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0~20cm.
줄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다.
8~9월 개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자루가 길다.
한국,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긴잎고추풀, 물벼룩알, 자주등에풀
애기물꽈리아재비
Mimulus tenellus Bunge
산자락의 습지에 나는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5cm 가량.
가지가 밑에서 갈라져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나온다.
7~8월 개화. 잎겨드랑이에 한 송이씩 달리며 꽃자루는 4mm 정도.
* 물꽈리아재비는 꽃자루가 1.5~3cm 이고 꽃받침이 길다.
한국,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애기물꼬아리, 애기물꽈리, 좀물꽈리아재비
'꽃나들이 2 > 습지와 냇가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지와 물가에서 (0) | 2013.10.07 |
---|---|
물칭개나물 (0) | 2013.10.05 |
조물주의 흡족한 걸작 물매화 (0) | 2013.08.28 |
물고기를 잡던 매운 풀, 여뀌 (0) | 2013.08.22 |
바늘 속에 또 바늘, 바늘꽃 (0) | 201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