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풀
Centranthera cochinchinensis var. lutea (Hara) Hara
습한 풀밭에 나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20~40cm.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고 길이 2~5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8~9월 개화. 꽃은 연한 노란색, 직경 10mm, 길이 15~20mm가량.
한국(진도, 제주도), 동아시아의 열대 및 온난대 지역에 분포한다.
[이명] 가시나물, 나도깨풀
성주풀은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섬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풀이다.
경북 성주(星州)에서 처음 발견되어 '성주풀'이 되었다는 이풀은,
옛 문헌에는 나와 있지 않고 1974년에 처음 등장한 이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표본은 1976년에 성주 부근에서 채집되었다.
그 후 성주에서 이 풀이 목격되었다는 기록이 없는 반면,
요즘에는 전라남도의 섬과 제주도에서 어렵게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귀식물로도 지정하지 않은 걸 보면
이 식물은 원래 우리나라에서 살던 풀이 아니라 60~70년대에
어떤 경로로 국내에 들어왔으리라 짐작된다.
‘성주풀’의 종소명 ‘cochinchinesis'는 오늘날 베트남 남부지방을 말하는
코친차이나(cochinchina)산(産)이란 뜻이며 '교지지나(交指支那)'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베트남 전쟁이 발발했을 때 미국의 요청으로
1965년부터 1973년 까지 장병 34만여 명을 파병했다.
그렇다면 이 풀의 유입 경로를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원래 이 풀은 베트남의 남부지방에서 살고 있었던 풀인데,
베트남에 파병되었다가 임무를 마치고 귀국한 장병들의
화물에 이 식물의 씨앗이 묻어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
그 중에 경상도 성주에 도착한 어느 화물에 묻어온 씨앗이
이듬해 싹을 틔워 몇 해 동안 그 지역에서 번식을 했고,
어느 식물학자의 눈에 띄어 ‘성주풀’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러나 그 후에 몇 번의 추운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그 지방에서는 더 이상 살아남지 못했을 수도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따뜻한 서남해안지방으로 도착한
화물에 묻어온 씨앗은 살아남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체계적으로 식물학을 공부하지 못한
아마추어의 무지한 추측으로 꾸며본 소설일 따름이다.
누군가가 농담 삼아 '월남에서 수분 곤충을 데려오지 못해서
국내에서 제대로 번식하지 못하는 건 아닐까요?' 라는 말을 했다.
아닌 게 아니라 정말 그럴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성주풀의 꽃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자의 얼굴이 보인다.
그런 특별한 모양에는 그에 맞는 곤충이 따로 있을 법도 하다.
2010. 9월. 꽃 이야기 151
'꽃나들이 2 > 그 곳에만 피는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네발란과 지네의 유유상종 (0) | 2013.03.12 |
---|---|
바람꽃이 시들지 않는 까닭은... (0) | 2013.02.25 |
징소리와 함께 물러나는 쇠채 (0) | 2013.01.15 |
바람결 생명의 향기, 풍란 (0) | 2012.12.03 |
칠보산에 칠보치마가 없다니... (0) | 201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