땃딸기
Fragaria yezoensis H. Hara
양지바른 산자락에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있고 기는 가지로 번식한다.
6~7월에 15∼30cm 자란 꽃줄기 끝에 흰색 꽃이 핀다.
열매를 식용하며, 한국(강원 이북),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따딸기(북한명)
백두산 높은 곳의 봄은 6월에 시작된다.
6월 말에 들어서야 천지를 둘러싼 산자락의 눈이 녹고
천지의 얼음이 풀려서 장백폭포의 물줄기가 거칠어진다.
이 눈과 얼음이 녹은 물소리에 백두의 봄꽃들이 눈을 뜬다.
땃딸기의 하얀 꽃도 이 무렵에 피기 시작한다.
땃딸기는 요즘 말로 하면 '땅딸기'이다.
산딸기가 대부분 목질의 덩굴에 달리는데 비해
땃딸기는 땅을 기면서 자라는 초본성 덩굴에 열린다.
식물 분류계통으로 보면 이 땃딸기가
요즘 먹는 재배 딸기의 직계 조상이다.
땃딸기는 밭에서 기른 딸기보다 단맛이 좀 덜할 뿐
비타민C와 영양은 오히려 더 풍부하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땃딸기’를 '따딸기'라고 부른다.
북한에서 ‘따’는 ‘땅’을 뜻하는 접두사이다.
그리고 '따'는 '땅'의 제주도 방언이기도 하다.
사실 북한이나 제주도의 방언만은 아니다.
옛날에 천자문을 배울 때, '하늘 천 따 지'라고 했으니
아주 옛날에는 '땅'이 '따'이었으리라 추측된다.
그러다가 어느 시대에 '따'가 '땅'이 되어 버렸다.
‘따’ 밑에 'ㅇ'이라는 바퀴를 달아 ‘땅’이 될 무렵에
땅을 굴리는 부자들의 세상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언제부터인가 땅 가진 자들이 땅땅거리고 있다.
백두산 땃딸기가 피는 너른 '따'에는
아직은 돈 냄새가 덜 나서 좋다.
임자 없는 '따'이 많아서 좋다.
꽃향기 넘치는 그 넓은 '따'가 좋다.
2013. 1. 18. 꽃이야기 120
'꽃나들이 2 > 백두산에 피는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배동무가 보여준 노루발풀들 (0) | 2013.03.04 |
---|---|
국경의 슬픈 전설로 남을 털동자꽃 (0) | 2013.01.25 |
물부처로 고쳐불러야할 이름, 산부채 (0) | 2012.09.10 |
꿈의 안테나를 높이 세운 나도범의귀 (0) | 2012.09.07 |
피는 순간부터 시드는 하늘매발톱 (0) | 201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