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주란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Baker
제주도 해변의 모래땅에 자라는 수선화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60~70㎝. 7~8월 개화. 관상용, 잎은 약용한다.
한국(제주), 일본에 분포한다.
[이명] 문주화, 천리향
먼 옛날 제주도 바닷가에 할머니와 손자, 단 둘이 살았다.
평생 해녀로 살아온 할머니는 늘 바다에 가서 물질을 했고
다섯살박이 손자는 바닷가에서 놀면서 할머니를 기다렸다.
손자는 할머니와 만 년을 같이 살 거라고 입버릇처럼 말했지만
할머니는 나이 탓으로 날로 쇠약해져 갔다.
그러던 어느 날 할머니는 영원히 눈을 감았다.
그러나 만년을 같이 살자던 손자의 말이 끝내 잊히지 않아
할머니의 혼백은 바닷가의 작은 섬을 떠나지 못하고 맴돌다가
뿌리가 생기고 잎과 줄기가 나서 하얀 꽃을 피웠다.
이 전설의 꽃이 바로 문주란이고 이 섬에 하얀 꽃이 만발하면
마치 토끼떼처럼 보여서 토끼섬이 되었다고 한다.
천천히 걸어도 십 분이면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이 작은 섬에는
문주란과 해녀콩이 많이 살고 있어서 이 전설이 참 그럴싸하다.
사실 이 두 가지 식물은 일본과 동남아시아에서 해류를 타고
그 종자가 제주도까지 흘러온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문주란은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인기가 많았고
진통 및 해열 효과와 종기와 어혈 치료제로 쓰였기 때문에
한때는 무분별한 채취로 거의 멸종상태가 되었다고 한다.
그 시절 이 식물과 같은 여성 인기가수의 이름 때문에도
문주란이 더욱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는지는 모르겠다.
1962년에 문주란이 천연기념물 19호로 지정되고
거센 파도와 바람으로부터 문주란을 지키려고
섬 둘레에 현무암 돌담을 쌓는 등의 노력 덕분에
토끼섬의 문주란은 그런대로 옛 모습을 되찾았다.
아무튼 사람들의 삶에 여유가 생길수록
보기에 좋은 식물들의 삶은 고달파진다.
만년을 같이 살자고 한 어린 손자의 소원처럼
토끼섬의 문주란이 잘 살아줬으면 좋겠다.
2012. 12. 5. 꽃이야기 108
'꽃나들이 2 > 제주도와 울릉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만난 제일 작은 풀꽃, 영주풀 (0) | 2013.02.13 |
---|---|
내 마음의 등불, 등심붓꽃 (0) | 2012.12.23 |
헐떡거려야만 만날 수 있는 헐떡이풀 (0) | 2012.11.19 |
제주도 花類界의 귀한 선물, 방울난초 (0) | 2012.09.25 |
제주 해녀들의 애달픈 노래, 해녀콩 (0) | 201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