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나물
Leibnitzia anandria (L.) Turcz.
산자락의 양지바른 곳에 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20cm.
잎 뒷면과 줄기에 솜털 같은 섬모들이 있다가 여름에 사라진다.
어린잎은 식용, 식물체를 말린 것을 대정초(大釘草)라 하며 약용한다.
3월 말 ~ 5월 개화. 가을에는 폐쇄화가 피어 봉오리상태로 결실한다.
한국(전역), 일본,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이명] 부싯깃나물, 까치취
솜나물은 여러 번 사람들을 어리둥절하게 한다.
이른 봄에 진분홍색으로 꽃을 피울 듯하다가도
활짝 피고 나면 분홍색은 꽃잎 뒤로 숨어 버린다.
가을엔 훨씬 긴 꽃대를 올려서 꽃이 필 듯 말 듯 하다가
느닷없이 연한 갈색의 털보송이로 변신한다.
이른 봄에 피는 솜나물은 한 뼘이 못되는 키에 작고 하얀 꽃을 피운다.
솜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잎과 줄기에 미세한 솜털이 많이 달려서
솜처럼 하얗게 보이는데다가 잎을 나물로 먹었기 때문이다.
가을에 피는 것은 한 뼘 반 정도까지 자란다.
꽃봉오리는 봄꽃보다 훨씬 크지만 폐쇄된 상태에서 자가 수분을 하고나면
바로 갈색의 씨앗을 만들어 바람에 날린다.
(가을의 폐쇄화와 종자가 여문 모습, 우측사진)
솜나물은 '부싯깃나물'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이 풀을 잘 말려서 부싯돌에서 불을 붙였기 때문이다.
부싯깃나물이라고 하니 갈색의 면봉처럼 보이는 종자가
커다란 성냥알갱이처럼 보이기도 한다.
1880년에 우리나라에 처음 성냥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솜나물이 성냥알갱이 역할을 한 셈이다.
우연히도 성냥이 들어온 지 꼭 100년 만인 1980년에
일회용 라이타가 우리나라에 처음 등장하게 된다.
이 간편한 물건이 나오면서 300여 개나 되던 성냥공장들이
급속히 문을 닫기 시작하더니 2010년에 이르러서는
단 하나의 성냥공장만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그나마도 적자가 쌓여서 문을 닫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한다.
머지않아 성냥 구경도 어려울 것 같아서
시골 구멍가게에 가서 오래된 통성냥 한 곽을 사다 놓았다.
언젠가 손자들이 생기면 ‘성냥팔이 소녀’ 동화를 읽다가
‘할부지, 성냥이 모야?’하고 물어볼 것 같아서다.
2012. 11. 16.
꽃이야기 93
'꽃나들이 1 > 아지랭이피는 들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자고(山茨菰)의 이름에 대한 오해 (0) | 2013.01.23 |
---|---|
태엽의 원조, 꽃마리 (0) | 2013.01.19 |
제비꽃 이름 제대로 알기 (0) | 2012.11.08 |
해를 품은 꽃, 양지꽃 (0) | 2012.04.14 |
나물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조개나물 (0) | 201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