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가새
Tribulus terrestris L.
바닷가의 모래밭을 기며 자라는 남가새과의 여러해살이풀. 길이는 1m 정도.
길이가 다른 깃꼴 겹잎이 마주난다. (잎겨드랑이에 꽃이 달리는 쪽의 잎이 짧다.)
7~8월 개화. 열매는 5개로 갈라지고 각 조각에는 2개의 가시가 있다.
한국(제주도 ·경상도 ·함경북도), 전세계적으로 난대,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이명] 질려자(蒺藜子), 백질려(白蒺藜)
담장에 남가새는 쓸어버릴 수가 없네. (牆有茨 不可掃也)
집안 이야기라서 말할 수도 없네. (中冓之言 不可道也)
말해보자 한다면 그 말이 너무 더러워. (所可道也 言之醜也)
시경(詩經)에 나오는 이 노래는 위(衛)나라 궁중의 스캔들을 풍자한 것이다.
남가새는 밉지만 없앨 수 없는 존재로에 비유된다.
어떤 해설서에는 남가새 덩굴이 허술한 담장에 얼기설기 엮여서
이것을 뜯어버리면 담장이 무너진다는 설명이 있다.
옛 기록에는 남가새 열매를 고혈압과 눈병, 강정제,
피부염 등에 약용으로 썼다고 한다.
예전에는 삶 가까이에서 흔하게 보았던 식물이
요즘에는 왜 쉽게 볼 수 없게 되었을까?
(바닷가 모래땅을 기며 자라는 남가새)
나는 남가새의 씨앗에 돋친 가시에 혐의를 두고 있다.
남가새는 사막이나 바닷가 모래땅을 기며 자라는 식물이다.
줄기 끝마다 하루 한 개씩 하늘을 보고 꽃을 피웠다가
다음 날 바로 꽃줄기를 땅 쪽으로 떨구고 열매를 만든다.
그리고는 열매에서 가시가 자라나 문어 다리에 붙은 빨판처럼
바닷바람이 센 모래 위에 줄기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남가새’의 ‘가새’는 가시의 방언이거나 옛말로 추측된다.
크게 번성하는 식물들은 씨앗에 날개나 갈고리를 달아서
새로운 땅으로 떠나는 모험을 한다.
남가새가 왜 가시를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그 가시는 땅을 파고드는 말뚝, 말 그대로 '토박이'가 되어버렸다.
겨우 몇 군데에서 명맥을 이어가는 남가새를 보노라면,
비록 영육이 건강하고 성실한 사람이라도
새로운 세계를 향한 동경과 모험심이 없다면
항해하지 않는 배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2012. 9. 3. 꽃이야기 70.
'꽃나들이 2 > 바닷가에 피는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대풀에서 잃어버린 등잔을 찾다 (0) | 2013.01.17 |
---|---|
번행초의 학명에서 얻은 깨달음 (0) | 2012.10.18 |
안쓰러운 이름, 바위채송화와 땅채송화 (0) | 2012.03.31 |
동해바닷가에만 사는 신비한 요정, 해란초 (0) | 2012.03.18 |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반가운 겨울 꽃, 털머위 (0) | 201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