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애기나리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var. ovalis
높은 산 그늘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
5~6월 개화. 한국,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진부애기나리
‘금강’(金剛)이라는 말은 가장 귀하다는 수식어로 많이 쓰인다.
보석 중에 최고로 치는 다이아몬드가 금강석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산이 금강산이다.
금강송은 가장 훌륭한 목재로 대궐을 지을 때 쓰는 소나무다.
우리 꽃 이름들 중에 ‘금강’이 붙은 것이 여럿 있다.
금강초롱, 금강애기나리, 금강제비꽃, 금강봄맞이 등이다.
이 작은 풀꽃들은 그 무리들 중에 최고의 영예를 받은 셈이다.
다 아름다운 꽃들이기는 하지만 최고라는 뜻으로 쓰인 것 같지는 않고,
아마도 이들이 금강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얻은 이름일 것이다.
이름에 ‘금강’이 들어간 식물들은 금강산의 줄기를 따라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등지의 높은 산에만 산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있는 식물인데다가,
쉽게 볼 수 있는 풀이 아니어서 그 의미가 귀하다.
이들 중에서 금강애기나리는 비교적 쉽게 만날 수 있다.
백두에서 한라까지 우리나라 높은 산에는 거의 살고 있기 때문이다.
상아빛 엷은 꽃잎에 자잘한 점들이 박혀있는 이 작은 꽃은
‘금강’이라는 말이 붙어서인지 살아있는 보석처럼 빛난다.
언젠가 런던에 갔을 때, 세계 최고라는 다이아몬드를 본 일이 있지만
내게는 한 송이 금강애기나리 꽃을 만나는 감동이 더 컸다.
금강경의 마지막 구절에 나오는 부처님의 말씀을 떠올려 보면
금강석이나 금강애기나리의 꽃이 다르지 않은 까닭이다.
일체의 법이여! (一切有爲法)
꿈 같고, 환영 같고, 거품 같고, 그림자 같네. (如夢幻泡影)
이슬 같고, 또 번개와 같아라. (如露亦如電)
그대들이여 이 같이 볼지니. (應作如是觀)
2012. 6. 9. 꽃이야기 64.
* 금강경의 우리말 해석은 도올 김용옥 선생의 해석임.
인용구의 첫 줄 '一切有爲法' 이란
'눈에 보이는 이 세상의 모든 것'으로 나는 받아들였다.
애기나리
Disporum smilacinum A.Gray
산지의 숲속에 나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15~30cm.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한 번 갈라지거나 외대이다.
4~5월 개화.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한다.
한국(중부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가지애기나리
큰애기나리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산지의 숲속에 나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50cm 가량.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은 2~4번 갈라진다.
5~6월 개화. 어린잎을 식용한다.
한국(전역),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중애기나리
'꽃나들이 2 > 높고 깊은 산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개승마에서 더듬은 대마의 추억 (0) | 2013.01.28 |
---|---|
이제는 나물노릇 할 일 없는 박쥐나물 (0) | 2012.11.15 |
네귀쓴풀에 귀가 네 개 달린 까닭 (0) | 2012.03.20 |
기암절벽에 매달린 쌀 한 섬, 석곡 (0) | 2012.03.16 |
보석보다 빛나는 참바위취 (0) | 201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