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솜다리
Leontopodium leiolepis Nakai
높은 산 암석지대에 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7~22cm. 가지가 없고, 전체에 흰 솜털이 있다.
6월 개화. 한국(중, 북부) 특산 식물.
[이명] 참솜다리(북한명)
1970년대에 설악산을 찾았던 분들은 ‘에델바이스’라며,
작은 액자에 넣어서 천 원씩에 팔던 꽃을 기억할 것이다.
그 십여 년 동안에 설악산 봉우리마다 흔하던 이 꽃은
자취를 감추어서 지금까지도 숨어 사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이 참사(慘事)는 ‘사운드 오브 뮤직’이라는 영화 때문이었다.
영화 ‘Sound of Music’은 1965년 미국에서 제작되어
60년대 말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히트한 뮤지컬 영화였다.
쥴리 앤드류스가 주연한 이 영화에 좋은 음악들이 많이 나오지만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곡이 바로 주제곡 ‘에델바이스’였다.
에델바이스(edelweiss)는 오스트리아의 나라꽃이다.
노랫말에는 그 작고 하얀 꽃에서 느끼는 행복감과 조국애가 담겨 있다.
그런데 이 영화와 에델바이스 노래가 남긴 감동의 불씨가
설악산에서 평화롭게 살던 산솜다리에게 재앙으로 번졌다.
솜다리속(屬)의 식물은 전 세계에 약 50종이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솜다리와 산솜다리 등 다섯 종이 살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에델바이스(Leontopodium alpinum)와 우리나라의
솜다리(Leontopodium coreanum)나 산솜다리(Leontopodium leiolepis)와는
근연관계의 식물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다른 종이다.
우리나라의 솜다리들은 먼 나라의 얼굴도 모르는 친척 때문에
죄도 없이 멸족 상태에 이르는 수난을 당하게 되었다.
대자연, 그것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립공원에 사는 식물을
몇 푼의 돈 때문에 마구 채취하고 박제를 해서 판 것도 문제지만,
당사자도 아닌 친척들을 멸종까지 몰고 갔으니 기가 찰 노릇이다.
‘에델바이스’ 노래의 마지막 구절이 짙은 여운을 남긴다.
'나의 조국이여 영원하라 (Bless my homeland forever)'
나의 조국은 어디에 따로 있지 않고,
풀 한포기, 나무 한 그루에도 스며있다.
그들이 우리 삶의 터전이며 친구이기 때문이다.
2013. 9. 10. 꽃 이야기 321.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Miq.
깊은 산에 나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25~50cm.
전체에 솜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8~9월 개화.
한국(소백산 이북),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솜다리
다북떡쑥
Anaphalis sinica Hance
산지의 건조한 풀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20~35cm.
줄기에 흰털이 있고, 잎 뒷면에 회백색 솜털이 밀생한다.
7~8월 개화. 암수딴그루 식물이다.
한국(경북, 중부 이북),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이명] 개괴쑥, 구름떡쑥, 다북산떡쑥
'꽃나들이 2 > 그 곳에만 피는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곳에만 피는 꽃 (0) | 2013.10.04 |
---|---|
가는잎향유 (0) | 2013.10.04 |
절벽에 핀 치명적 유혹, 둥근잎꿩의비름 (0) | 2013.08.31 |
비극의 땅에 붉게 피는 지리터리풀 (0) | 2013.08.16 |
소림사 스님을 닮은 약난초 (0) | 201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