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나들이 4 나무에 피는 꽃/덩굴과 아주 작은 나무

청산별곡의 주인공 머루와 다래 왕머루 Vitis amurensis Rupr.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는 포도과의 갈잎덩굴나무로 10m이상 줄기를 뻗는다. 수꽃그루와 양성화가 피는 개체가 있으며 6~7월에 원뿔모양꽃차례로 꽃이 핀다. 머루(V. coignetiae)는 울릉도, 서남해안의 섬, 제주도의 숲 가장자리에 분포하고, 잎 뒷면과 줄기, 꽃차례의 줄기에 거미줄 같은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애 살어리랏다 뭘위랑 다래랑 먹고 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고려 가요 청산별곡의 첫머리다. 노래의 주제이자 배경이 되는 청산은 아무도 살지 않는 깊고 깊은 산중이다. 그런 산에서는 나물, 열매, 버섯, 뿌리 같은 여러 가지의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겠지만 그 중에 멀위와 다래가 그 모든 산중 먹거리의 대표.. 더보기
종덩굴 종덩굴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숲 가장자리에서 드물게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갈잎덩굴나무다. 3~5m 정도 줄기를 뻗으며 잎은 5~7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6~7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자주색 꽃이 1개씩 달린다. 무수한 빗방울 중 단 한 방울이 정곡에 닿아 종이 울리길 갈망했다 아파보지 않은 그리하여 울어보지 않은 종은 종이 아니다 비 내리는 날은 누군가의 종이 되어 제대로 울고 싶다 세잎종덩굴 Clematis koreana Kom. 해발 1,200m 이상의 산지에서 2~3m 정도 덩굴을 뻗으며 자란다. 6~8월에 지름 3cm 정도의 자주색 또는 황색의 꽃이 1개씩 달린다. 누른종덩굴은 꽃 색 외에는 차이가 없어 세잎종덩굴에 통합되었다. 자주종덩굴.. 더보기
찔레꽃이 피어야 고향이다 찔레꽃 Rosa multiflora Thunb. 전국의 마을 주변이나 낮은 산지에서 2~4m 정도 자라는 갈잎덩굴성나무. 5~6월에 가지 끝에서 지름 3cm 정도의 흰색이나 연분홍색 꽃이 모여 핀다. ‘아버지, 시골이 있다는 게 참 좋은 것 같아요.’ 같이 저녁을 먹다가 아들이 무심코 한 말이다. 아들이 말하는 ‘시골’은 곧 아버지인 나의 고향이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고향이 있어서 좋다’고 말하지 못하는 아들이 참 안쓰러웠다. 아들은 태어나자마자 나의 근무지를 따라 여러 지방으로 이사를 다녔기 때문에 고향이 없다. 고향은 자신이 태어나서 자란 곳이고 조상대대로 살아온 터전이라야 의미가 더 깊다. 그리하여 마음 깊이 간직한 그립고 정든 곳이 되었을 때 비로소 그 의미가 완성된다. 아들이 그렇듯이 산업화.. 더보기
오늘은 자주조희풀 네가 날 물들게 한다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Hemsl. 중부지방에서 허리 높이 정도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갈잎떨기나무. 암수딴그루로 8~9월에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지름 4cm 정도의 꽃이 모여 핀다. 병조희풀(C. heracleifolia)의 변종으로 병조희풀보다 꽃받침조각이 넓게 벌어진다. ‘오늘은 자주조희풀 네가 날 물들게 한다’는 김창진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제목이다. 이 시집이 나오게 된 과정이 흥미롭고 감동적이다. 시인의 문우(文友) 몇 분이 야생화 탐사와 사진찍기에 취미를 붙이고 날마다 찍어온 꽃 사진을 메일로 보내면 시인은 그 다음날 멋진 시로 화답을 했다. 그렇게 되자 사진을 보낸 분들은 자연스레 꽃을 ‘메긴다’라고 했고 메긴 꽃 사진은 다음 날.. 더보기
숲속의 관현악단 등칡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산지 계곡이나 너덜지대에서 자라며 10m 정도 덩굴을 뻗는다. 4~5월에 잎겨드랑이에 길이 5cm 정도의 양성화가 1~2개 달린다. 주로 강원도와 영남지방의 산지에 드물게 분포하는 편이다. 십여 년 전에 신록이 짙어가는 산길에서 처음 보는 덩굴식물을 만났다. 그.. 더보기
덩굴과 아주 작은 나무들 목록 가지과 : 구기자나무 장미과 : 찔레나무, 해당화 콩과 : 칡, 땅비싸리 포도과 : 담쟁이덩굴, 왕머루/까마귀머루 노박덩굴과 : 노박덩굴/푼지나무/미역줄나무 꿀풀과 : 백리향 다래나무과 : 다래/섬다래/쥐다래/개다래 쥐방울덩굴과 : 등칡 미나리아재비과 : 종덩굴/자주종덩굴/요강나물 등, 개버무리, 큰꽃으아리, 병조희풀 단향과 : 겨우살이/꼬리겨우살이 더보기
붉은겨우살이 열매 단상 겨우살이 Viscum coloratum (Kom.) Nakai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에 반기생하는 단향과의 늘푸른떨기나무. 까치집 모양으로 자라며 낙엽이 지고 난 겨울에 눈에 잘 띈다. 암수딴그루로, 3~4월에 가지 끝에 지름 2~3mm의 노란 꽃이 핀다. 그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 겨우살이는 겨울에만 겨우 살고 가는 .. 더보기